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내년 3월 4세대 무선통신기술(LTE)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안전통신망을 전국에서 사용할 수 있어 긴급한 재난이 발생할 경우 자치단체, 경찰청, 소방청의 대응이 빨라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남부권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수도권 구축을 본격적으로 진행 중임을 3일 발표했다.
기존에는 경찰청, 소방재청, 자치단체 등이 각각 초단파(VHF)와 극초단파(UHF) 무전기와 주파공용통신(TRS) 등을 사용해 긴급한 재난 발생 시 상황 공유와 대응 등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2018년부터 본격 추진된 재난안전통신망 구축은 총 1조5천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중부권, 남부권, 수도권 순으로 3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1단계 사업 구역인 대전과 세종, 강원, 충청지역에서 경찰이 시범운영 중으로 2단계 사업으로 부산·대구·울산·광주 등 남부권까지 통신망이 확대됐다. 내년 3월 수도권까지 구축을 완료하면 전국망을 완성해 본격적인 재난안전통신망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특히 2단계 사업으로 3곳의 운영센터를 구축해 하나의 센터가 멈추거나 운영이 중단돼도 차질 없는 통신망 운영이 가능해진다. 서울-대구-제주 운영센터의 3원화 체계를 구축해 정전, 장비 고장 등 장애 발생 시에도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안영규 행안부 재난관리실장은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되면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경찰청과 소방청, 자치단체 등 대응기관이 하나의 통신망을 사용해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