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감염 등을 우려해 국가암검진을 미루는 사례가 발견됨에 따라, 경남도가 무료검진 대상자들이 연말까지 검진을 받도록 독려하고 나섰다.
경남 국가암검진 수검율은 2018년 41.2%, 2019년 39.3%였으나, 올해는 10월 말 기준으로 26.6%에 그치고 있다. '국가암검진 사업'은 우리나라 사망 원인 1위인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조기 치료를 통해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연중 시행하고 있다.
올해 국가암검진 대상자는 짝수년도 출생자이면서 의료급여수급자 및 건강보험가입자 중 보험료 부과기준 하위 50%에 해당하는 국민이며, 검진비는 무료다.
대상 암종은 모두 6개 종류로, 발병률이 높으면서 조기 진단을 통해 치료할 경우 완치율이 높은 암이다. 세부적으로 ▲위암(만 40세 이상, 2년 주기) ▲간암(만 40세 이상, 고위험군 대상 6개월 주기) ▲대장암(만 50세 이상, 1년 주기) ▲유방암(만 40세 이상, 여성 2년 주기) ▲자궁경부암(만 20세 이상, 여성 2년 주기) ▲폐암(만 54~74세 고위험군 대상, 2년 주기) 등이 해당한다.
▶▶ 국가암검진 프로그램
진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송부한 검진표 또는 신분증을 지참하고, 지정된 검진기관을 방문하면 연중 검진을 받을 수 있다.
국가암검진을 통해 암이 발견된 경우, 의료급여수급권자는 연 최대 220만 원, 건강보험료 하위 50% 해당자는 연 최대 200만 원까지 암 의료비를 3년간 지원받을 수 있다.
특히, 경남도는 2014년부터 의료급여수급권자에게 국가암검진 시 위·대장 수면 내시경 비용과 유방초음파 비급여 비용을 지원하는 특수시책도 추진하고 있다.
신종우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은 "암검진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면서 "국가 6대암 검진으로 조기 발견·조기 치료가 가능하니, 검진 대상자는 연말까지 꼭 검진을 받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