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산업부는 박진규 차관 주재로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 승인기업 협의회(이하 협의회)’ 발족식을 개최했다.
규제 샌드박스는 기업이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할 때 일정기간 동안 기존 규제를 면제 또는 유예시켜주는 제도다.
이번 협의회는 규제 샌드박스 승인기업 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사업 수행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미래차·모빌리티, 공유경제, 스마트의료, 에너지, 식품·건강, 디지털·융합의 6개 분과에서 승인된 77개 기업이 참여했다. 발족식에는 스프링클라우드를 비롯해 네오펙트, 로보티즈, 빅픽쳐스, 풀무원건강생활 등의 기업 대표들이 참석했다.
협의장을 맡은 스프링클라우드의 송영기 대표는 “우리 회사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지난 8월 국내 처음 일반 탑승객을 대상으로 정식 서비스를 테스트 할 수 있었다.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다양한 회사들이 신제품과 신서비스를 마음껏 추진해 볼 수 있는 사례가 많이 등장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이어 각각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빅픽쳐스는 ‘건설기계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VR) 시뮬레이터’, 네오펙트는 ‘홈 재활훈련기기’, 로보티즈는 ‘자율주행 배송로봇’에 대해 실증특례 승인을 받았다.
특히 로보티즈는 서울 강서구 내 자율주행 로봇 배송서비스를 시행해 대상 음식점의 평균 하루 매출액이 기존 대비 40~50만원애서 270만원으로 5배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96%는 ‘서비스에 만족한다’고 응답해 효용성과 편의성이 확인됐다.
산업부 박진규 차관은 “산업융합 규제 샌드박스 승인 기업이 100여개에 가까워지는 상황에서 정부와 승인기업 간 소통과 협력을 위한 채널이 만들어진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금융지원, 특허출원, 공공조달 등 사업화 지원을 위한 제도까지 안내해 산업부-승인기업 간 ‘핫-라인’으로 활용되도록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