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수도권 전세난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서울과 거리가 먼 경기북부 외곽지역의 인구 감소세가 개선되지 않고 있다.
20일 경기북부 각 지자체에 따르면 2020년도 10월 말 기준 지역별 주민등록인구는 고양시가 107만6564명으로 가장 많고, 남양주시 71만1815명, 파주시 46만3155명, 의정부시 45만9418명, 양주시 23만5명, 구리시 19만7781명, 포천시 14만7578명, 동두천시 9만3915명, 가평군 6만2476명, 연천군 4만3574명 순이다.
이 중 의정부시와 양주시, 고양시, 파주시, 남양주시의 인구는 택지개발 등의 영향으로 매년 5000명에서 1만명씩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구리시와 포천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의 인구는 수년 째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올해 수도권 일대 전세난도 이 같은 감소세에는 영향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특히 포천시와 가평군, 연천군은 한국고용정보원이 실시한 지방소멸위험지수 조사에서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을 정도다.
경기북부 인구감소지역의 특징은 인구 감소에 반해 세대수는 늘거나 비슷한 숫자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지난 2016년부터 인구 증감이 감소세로 돌아선 동두천시의 경우 2018년 말 기준 인구가 4만2919세대에 9만6226명을 기록했으나, 지난달 말에는 4만3498세대에 9만3915명을 기록해 세대수와 인구 증감이 교차하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다.
이는 1인 가구 증가의 영향도 있으나, 자녀가 독립하지 않은 20~30대 젊은 층의 이탈을 가족 구성원수가 적은 고령층이 대체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가평군 역시 세대수와 인구 증감이 반비례하는 상황으로 각종 인구시책으로 2018년까지 조금씩 인구가 증가했었지만, 2018년부터는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동두천시 관계자는 “지역 내 전세난이 수도권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주거비가 비교적 저렴한 동두천으로 1~2인 고령층 가구가 유입되고 자녀를 동반한 3~4인 가족이 많은 20~30대가 교육 등을 위해 서울 쪽으로 이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