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국토교통부는 27일 일반 차량이 주행하는 공용도로에서 자율협력주행 기술에 기반한 화물차 군집주행을 최초로 시연했다.
자율협력주행은 자율주행차와 일반차량이 도로 인프라와 협력해 안전한 도로주행을 구현하는 기술. 화물차 군집주행은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활용해 후행차량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선행차량을 자동으로 뒤따르며 운행하는 기술이다.
국토부는 2018년부터 예산 134억여원을 투입해 한국도로공사, 국민대, 현대자동차 등 13개 기관과 관련 기술을 개발해 오고 있다.
이 날 화물차 군집주행 시연은 서여주IC~여주JCT 공용도로 8km 구간과 여주시험도로에서 진행된다. 일반 차량이 운행 중인 고속도로에서 화물차 3대가 대열을 유지한채 80km로 주행한다. 차량 간 간격은 15.6m다.
차량 간 통신(V2V)을 통해 주행정보를 받아 후행차량은 운전자가 핸들에서 손을 떼고 페달에 발을 올려놓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 선행차량의 뒤를 따라 속도와 방향을 조절한다.
다른 차량이 끼어들었을 때 해당 정보를 차량 간 주고받아 차량 간격을 벌려 대열을 유지하고 운행을 마친 후 대열을 해제하는 모습도 선보인다.
시험도로에서는 가상의 위험상황을 가정해 차로변경, 긴급제동 등의 안전서비스를 시연한다. 시연차량이 가상의 안개 구간에 진입했을 때 기상정보를 받아 차량간격을 넓혀 주행하고 공사구간에서는 해당 구간을 피하기 위해 차로를 변경해 안전성을 확보했다.
야생동물이 나타난 상황을 가정해 선행차량이 긴급하게 차량을 멈추면 뒤따르는 차량도 긴급제동하는 기술도 시연한다.
국토부는 내년에 4대의 화물차가 시속 90km로 더 넓은 범위의 공용도로에서 운행하는 것을 시연할 예정이다.
국토부 윤진환 자동차관리관은 "화물차 군집주행 기술은 자율협력주행 기술이 여객운송은 물론 물류운송 분야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도 큰 변혁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며 "화물차 군집주행이 상용화되면 자동화된 운전시스템을 통해 화물차 운전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졸음운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형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