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정미 기자] 화학사고에 대응한 훈련장이 건립된다.
환경부 소속 화학물질안전원은 16일 화학사고대응 훈련장을 완공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올해 11월 충청북도 오송으로 이전했다. 화학사고대응 훈련장은 부지면적 2,717㎡에 총 21억4천만 원이 투입됐다. 저장시설, 제조시설, 운반시설이 3개 구역으로 구분 돼 저장탱크, 반응기, 증류탑, 탱크로리 등 화학산업 주요설비 17종으로 구성됐다.
이번 화학사고대응 훈련장 건립으로 다양한 화학사고 시나리오를 반영한 체험훈련이 가능해졌다. 그간 화학물질 유·누출 대응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교육·훈련 설비가 없어 강의식 교육과 실내에서 제한적인 체험교육으로 진행돼 왔다.
화학물질안전원은 3개 유형 훈련시설에서 과거 화학사고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를 모사하기 위해 총 70개의 유·누출 시나리오를 개발해 훈련에 적용할 계획이다. 각 설비에서 사용되는 환경과 운전 조건을 반영해 액체, 기체, 액체 기체 혼합 등 물질 상태 변화에 따른 유·누출 상황을 고려했고 누출 지점도 다양하게 변화를 줬다.
아울러 실제 사고현장에 맞는 균열, 구멍 등 누출형태와 누출압력(0.1~4kg/cm2)을 모사하기 위해 특수 누출장치를 개발해 관련 기술은 특허 출원할 예정이다.
환경부 측은 “화학사고대응 훈련장은 화학설비 설계·시공 능력이 우수한 전문업체와 화학공정, 화공안전 등 분야별 전문가 등이 모여 설계부터 시공, 시운전, 검증까지 전 과정에 참여해 국내 기술로 전문 훈련장을 구축해 의미가 깊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