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부산항과 인천항에 스마트 공동물류센터가 건립된다.
해양수산부는 부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와 함께 2024년까지 부산항 신항 서컨 배후단지와 인천항 남항 배후단지(아암물류 2단지)에 첨단 디지털 물류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를 건립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로봇, 사물인터넷 센서, 첨단물류시설, 운영시스템 등을 통해 물류센터 입출고와 재고를 자동으로 관리하고 설비 고장도 사전에 감지해 예방하는 차세대 물류센터다.
유럽과 미국의 스마트 물류센터 운영사례를 보면 출고할 상품을 기존 물류센터의 보관 장소에서 꺼내는 피킹(Picking) 작업시간이 15%, 운영비용은 20% 이상 절감하고 생산성도 10% 이상 증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출입 항만의 경우 기존에는 화주가 물류센터를 직접 설치해 단순히 화물을 보관하는 형태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산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우수한 항만 인프라를 바탕으로 중소물류 업체를 지원하고 인천항 스마트 공동물류센터는 중국 카페리 운송서비스, 인천공항과의 연계, 해상특송 통관시스템 등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할 방침이다.
물류센터 건립에는 국비 402억 원, 항만공사 938억 원 등 총 1,340억 원이 투입된다.
해수부 측은 “스마트 공동물류센터가 건립되면 공동 배송을 통해 기업의 원가부담을 낮추고 무인지게차, 복합기능 컨베이어벨트, 무인운반로봇 등 스마트 기술 도입으로 물류기업 전반 혁신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를 통해 2,400여 명의 신규 일자리, 4만 TEU의 물동량 창출, 연간 약 20억 원의 물류비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