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제주남단 하늘길이 37년 만에 바뀐다.
국토교통부는 1983년부터 운영돼 온 제주남단의 항공회랑을 대신할 새로운 항공로와 항공관제체계를 오는 3월 25일부터 단계적으로 구축해 운영하기로 한·중·일 당국 간 합의했다고 12일 밝혔다.
항공회랑은 항로설정이 곤란한 특수여건에서 특정고도로만 비행이 가능한 구역이다. 지난 37년간 한중일 3국의 관제권이 얽혀 사고 우려가 컸던 제주남단 항공회랑은 교통량이 1983년 10대에 비해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580대로 증가해 항공기 간 안전우려가 높다.
새로운 항공로와 항공관제체계 구축은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1단계는 항공회랑 중 동서 항공로와 남북 항공로의 교차지점이 있어 항공안전 위험이 상대적으로 큰 일본 관제권역은 한국이 맡아 일원화한다. 한·일 연결구간에는 복선 항공로를 조성한다. 중국 관제권역은 한·중 간 공식적인 관제합의서를 체결해 국제규정에 맞게 한·중 관제기관 간 직통선을 설치하기로 했다.
2단계는 6월 17일 잠정 시행할 예정이다. 한·중 간 추가 협의를 통해 당초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이사회에 보고 합의된 대로 인천비행정보구역 전 구간에 새로운 항공로를 구축한다.
국토부 김상도 항공정책실장은 "1994년 한·중 항공협정 체결 이후 서울-상해 정기노선 항공편이 수십년간 비정상적으로 다녔다"며 "이제부터는 국제규정에 맞게 설치된 정규 항공로를 이용해 정상적인 항공관제서비스를 받으며 비행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