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동작구 흑석2, 영등포구 양평13·14, 동대문구 용두1-6·신설1, 관악구 봉천13 등이 공공재개발 후보지에 선정됐다.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는 지난해 5월 도입한 ‘수도권 주택공급방안’에 따라 공공재개발사업의 첫 시범사업 후보지 8곳을 선정했다고 15일 밝혔다.
선정된 후보지는 모두 역세권에 위치한 기존 정비구역으로 사업성 부족, 주민 간 갈등 등으로 정비구역 지정 이후 사업이 평균 10년 이상 정체된 곳이다.
공공재개발 후보지는 동작구 흑석2, 영등포구 양평13·14, 동대문구 용두1-6·신설1, 관악구 봉천13, 종로구 신문로2-12, 강북국 강북5 등으로 공급 가능한 물량은 약 4천700가구로 추산된다.
이 중 준공업지역인 양평13은 2010년 조합설립과 사업시행 인가를 완료했으나 분양여건 악화에 따른 수익성 부진으로 사업이 정체돼 왔다. 공공재개발을 추진하게 되면 공공이 주민갈등을 중재하고 초기사업비를 지원하게 된다. 주거지역 내 용적률은 기존 250%에서 300%로 완화하고 분양가상한제 제외 등 수익성도 개선시킬 계획이다.
신설1은 고밀개발이 용이한 신설동역 인근에 입지해 역세권임에도 그동안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분리돼 용적률이 250%로 묶여 사업성이 좋지 않았다. 앞으로는 300%로 용적률을 적용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역세권 가용 토지에서 주택공급 확대를 도모할 계획이다.
공공재개발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 등 공공기관이 장기 정체된 재개발사업에 참여해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택공급도 촉진하는 사업이다.
서울시는 이번에 후보지로 선정된 8곳에 공공재개발 특례가 적용된 정비계획을 수립해 이르면 연말까지 후보지를 ‘공공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최종 확정한 후 사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 주택건축본부 김성보 본부장은 “이번 공공재개발 시범사업 후보지는 공공지원을 통해 사업을 속도감 있게 진행할 수 있는 곳을 위주로 선정했다”며 “후보지들이 공공재개발을 통해 양질의 주거지로 탈바꿈해 오랫동안 낙후된 도심의 주거지를 되살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