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2017년 12월 21일 충북 제천시 노블휘트니스&스파 화재, 2018년 1월 26일과 11월 9일 각각 경남 밀양시 세종병원 화재, 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 화재 등...
행정안전부는 최근 유례없는 한파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최근 10년 간 발생한 화재 건수는 연평균 약 4만2천 건 정도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인명피해도 증가해 302명이 사망하고 1,874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간 발생한 화재를 월별로 보면 추위가 찾아오는 11월부터 화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 중 1월은 본격적인 추위로 화기 사용이 늘면서 화재 발생이 높다.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총 1만1,423명 중 1,453명(12.7%)를 차지했다. 유형별로는 10명 중 8명은 유독가스(연기)를 마시거나 화상을 입었다. 화재 발생 시간대는 사람들이 주로 활동하는 낮 동안 완만하게 증가해 오후 2시를 전후로 가장 많았다.
사망자는 시간대와 무관하게 발생했다. 일반적으로 화재 사망자는 수면 중인 밤에 많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낮에도 여전히 사망자가 줄지 않는 것으로 보아 화재 시 미처 대피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유독가스가 방과 복도 등 건물 내부로 퍼지는 시간은 약 4분으로 짧은 시간 내 대피해야 한다.
화재발생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연기가 발생하거나 불이 난 것을 발견할 경우 소리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주변에 알리고 즉시 119로 신고해야 한다. 이때 화재 초기면 주변의 소화기나 물 등으로 불을 끄고 불길이 커져 진압이 어려우면 신속히 대피해야 한다.
특히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때는 화재에 대비해 제일 먼저 비상구와 피난계단 등을 숙지하도록 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불이 난 곳과 반대 방향의 비상구와 피난통로를 따라 대피한다. 이때 승강기는 정전으로 매우 위험하니 반드시 계단을 이용한다. 대피할 때는 물에 적신 수건, 옷 등으로 코와 입을 막고 자세를 낮춰 피난 유도등을 따라 이동한다.
아울러 짧은 시간 안에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는 화재감지기와 비상벨 등 소방시설이 제 기능을 발휘하도록 관리하고 방화문은 꼭 닫아두어야 한다.
김종한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해마다 반복되는 화재로 많은 인명사고가 발생하고 있지만 아직도 비상구나 피난계단, 완강기 등에 물건을 두는 경우가 많다”며 “빠른 대피를 위해서는 비상 탈출을 할 수 있는 장소들이 물건으로 가려지지 않도록 평소에 잘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