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전국의 모든 혁신도시가 ‘지역사회 활성화 기반조성 사업’을 통해 어린이와 가족을 위한 종합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한다.
행정안전부는 국토교통부, 10개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맺고 ‘혁신도시 어린이·가족 특화시설 조성’에 함께한다고 26일 밝혔다.
협약에는 부산 영도구, 대구 동구, 광주‧전남 나주시, 강원 원주시, 충북 진천군, 전북 전주시, 경북 김천시, 제주 서귀포시 등 10개 지자체가 참여한다. 울산은 지난해 어린이 종합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마쳤다.
지난해 말 기준 국토부 혁신도시 정주여건 통계조사에 따르면 혁신도시의 평균 연령은 33.5세로 우리나라 평균인 42.6세에 비해 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 9세 이하 인구가 16.9%를 차지해 전국 평균 7.7%의 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도시는 젊은 도시, 어린이가 많이 거주하는 도시지만 가족과 어린이 관련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돼 왔다.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행안부와 국토부, 각 지자체는 ‘사업추진협의체’를 구성해 사전 행정절차 등을 지원하고 사업부지 확보, 차질 없는 예산집행, 공간운영 내실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어린이·가족 특화시설 조성’은 혁신도시 특성과 이주가족의 수요를 최대한 반영해 각 혁신도시의 실정에 맞게 조성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놀이·학습공간, 문화예술 체험공간, 또래 집단과 함께 어울리고 가족과 함께 즐기는 소통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예정이다.
행안부 이재영 차관은 “이번 협약으로 중앙과 지방이 힘을 합쳐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하는 것을 넘어 우리 아이들이 꿈과 희망을 키우는 도시를 만드는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