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정부가 공연·대중음악·관광·실내체육시설 등 코로나19 피해가 큰 업종을 대상으로 1만5,1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코로나19에 따른 문화 분야 고용 위기를 극복하고 피해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추경 예산 1,572억 원을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먼저 문화 분야 경영난 완화와 고용불안 해소를 위해 1만5,100명의 일자리 창출을 지원한다. 공연업계는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객석 거리두기’로 인해 지난해 12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1% 감소했다. 대중문화업계도 지난해 2월부터 약 600건의 공연이 취소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는 분야다.
이에 문화예술 창작·기획·경영 등 현장에 꼭 필요한 전문인력 3,500명, 대중음악공연 2,000명을 파견한다. 반복적인 집합금지·영업제한 조치를 받은 실내체육시설을 지원하기 위해 민간 체육시설 트레이너 6,800명도 고용할 예정이다.
전문인력 지원 외에 방송, 영화 등 유망한 국내 콘텐츠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해외 홍보, 번역, 더빙 등을 지원할 수 있는 현지화 인력 1,000명을 채용한다. 관광분야에서는 ‘외래 관광객 대상 공연’ 온라인 홍보 인력 300명, 비대면 국제회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홀로그램·온라인 회의 플랫폼 등 첨단기술 인력 400명도 지원한다.
일자리 사업 외에도 공연장 대관료를 지원하기 위해 50억 원을 증액해 800여 개 민간 공연단체와 100여 개 소극장의 경영 부담을 덜어준다. 153억 원의 영화발전기금도 증액해 영화관 기획전 대관료 지원, 중소 독립예술 전용영화관 대관료 지원, 일자리 연계형 온라인 뉴미디어 영상콘텐츠 제작 지원, 영화인 직업 훈련 등의 사업을 추진해 침체된 영화산업의 회복을 도모할 방침이다.
또한 스포츠 중소기업의 경영 상담,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성장 지원 사업에 31억 원을 증액해 30개 스포츠 중소기업을 강소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코로나19로 폐업 등 실패를 겪은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폐업 스포츠기업 재도전 지원’ 사업도 추진해 100여 개사의 재기를 돕는다.
아울러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100~500만 원을 지원하는 버팀목자금을 통해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등 집합금지(연장) 업종에 500만 원, 겨울스포츠시설 등 집합금지(완화) 업종에 400만 원, 숙박업, PC방 등 집합제한업종에 300만 원, 여행업·공연업 등 경영위기를 겪고 있는 일반 업종에 200만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외 매출이 감소한 일반 업종은 기존대로 100만 원을 지원하되 버팀목자금 지원을 위한 연매출 기준을 4억 원 이하에서 10억 원 이하로 상향해 지원 대상을 확대한다.
특고·자유계약자 고용안정지원금은 기존 1~3차 재난지원금을 받은 특고·자유계약자 70만 명에게 50만 원, 신규로 신청하는 10만 명에게 10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영화관·공연장·여행업 등 주요 업계가 고사 위기에 처해있다”며 “이번 추경과 추가 지원 방안이 업계 현장의 숨통을 트이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