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생활여건이 취약한 도시나 농촌 지역 96곳이 새로운 주거환경으로 탈바꿈한다.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이하 균형위)는 올해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신규 사업대상지 96개소를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96개소는 부산 서구(서대신4동)·광주 동구(계림동) 등 도시 16개소, 경기 여주(대신면)·양평(개군면)·세종 전의면 등 농어촌 80개소로, 시·도별로는 전남 22개소, 경북 20개소, 경남 16개소, 전북 11개소 등 총 11개 시·도가 포함됐다.
올해 선정된 사업대상지에는 올해 약 150억원을 시작으로 4년 간 총 1,500억원 규모로 약 1,050억원의 국비가 지원될 계획이다.
개소당 국비 지원액은 도시는 약 30억원, 농어촌 지역은 약 15억원이다. 도시 쪽방촌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임대주택 조성 시 최대 70억원을 지원한다. 슬레이트 지붕 개량, 노후주택 정비, 담장·축대 정비, 소방도로 정비, 재래식 화장실 개선, 상·하수도 정비 등 생활 시설개선과 주민 공동체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인 돌봄, 건강관리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선정된 사업에 대한 예산집행 등 사업관리는 도시지역은 국토교통부, 농어촌 지역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맡는다. 해당 부처별로 4~5월 중 신규 사업대상지 지자체를 대상으로 최종 사업계획을 마련하기 위한 합동 워크숍을 개최한다.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은 취약지역의 주민들이 최소한의 삶의 질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생활여건을 개선하는 것으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농어촌 311개소와 도시 120개소 총 431개 취약지역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균형위 관계자는 “정부는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노후화된 주거환경과 낙후된 생활인프라로 어렵게 지내온 취약 지역 주민들의 기본적인 삶의 질 충족을 위한 지원 정책을 지속 펼쳐 나갈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