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에 방학 시즌인 2월 <소울>과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이 쌍끌이 흥행에 성공하며 관객몰이에 힘을 보탰다.
영화진흥위원회는 ‘2월 한국 영화산업’을 결산해 17일 발표했다.
2004년 이후 2월 한국영화 관객 수로 최저인 68만 명
2월 실질 개봉편수는 전월 대비 10편이 증가한 54편이었다. 이 중 한국영화 실질 개봉편수는 전월 대비 4편 늘어난 17편, 외국영화 실질 개봉편수는 전월 대비 6편 증가한 37편이었다.
<소울>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흥행과 <새해전야> <미션 파서블> 등 한국영화 개봉으로 2월 전체 관객 수가 전월 대비 증가했다. 2월 전체 관객 수는 전월 대비 74.2%(133만 명) 증가한 311만 명이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로는 57.8%(426만 명) 감소한 수치다.
전체 관객 수는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이 가동을 시작한 2004년 이후 2월 전체 관객 수로는 최저치였다. 전체 매출액은 전월 대비 82% 증가한 287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53.9% 감소한 336억 원이었다.
한국영화 관객 수는 전월 대비 388.1%(54만 명) 증가한 68만 명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86.2%(426만 명) 감소한 수치다. 매출액은 전월 대비 416.9%(49억 원) 늘어난 61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85.4%(356억 원) 감소했다.
외국영화 관객 수는 전월 대비 47.7%(78만 명)로 전년 동월 대비 0.1%(1,896명) 증가한 243만 명이었다. 매출액은 전월 대비 54.9%(80억 원), 전년 동월 대비 10.1%(21억 원) 늘어난 226억 원이었다. 외국영화는 <소울>과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등 애니메이션의 흥행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관객 수와 매출액이 소폭 증가했다.
2월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은 전년 동월 대비 45.1%p(포인트) 감소한 21.9%, 외국영화 관객 점유율은 전년 동월 대비 45.1%p 증가한 78.1%였다.
영진위는 코로나19로 설 대목이 사라졌고 중량감 있는 한국영화의 개봉도 없었던 탓에 2월 한국영화 관객 점유율은 2004년 이후 2월 가운데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겨울 방학 기간 애니메이션 강세 지속
디즈니 애니메이션 <소울>이 두 달 연속 전체 흥행 1위를 수성했다. 북미에서 <소울>은 극장 개봉 없이 디즈니의 OTT 플랫폼인 디즈니플러스로 공개됐다. 국내는 디즈니플러스가 서비스되고 있지 않아 지난 1월 20일 개봉했다.
재즈 피아니스트가 주인공인 <소울>은 ‘음악’이라는 소재와 ‘일상의 행복’이라는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테마로 가족 단위 관객은 물론 성인 관객층까지 포섭하면서 흥행에 성공했다. <소울>은 14일까지 186억 원(200만 명)의 누적 매출을 올렸다. 이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국내에서 개봉한 애니메이션 중 최고 흥행 기록이다.
전체 흥행 2위도 지난 2월과 동일했다. 67억 원(69만 명)의 매출을 기록한 일본 애니메이션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이 2월 전체 흥행 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0월 16일 일본 개봉 후 일본 역대 흥행 기록을 갈아치운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은 국내에서 14일 기준 116억 원(120만 명)의 누적 매출액을 기록했다.
영진위 측은 “<소울>과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의 쌍끌이 흥행으로 2월 관객 수가 증가했고 여기에 한국상영관협회가 2월 개봉작에 대해 부금을 추가 지급하는 개봉 지원 방안을 마련한 덕분에 <새해전야> <미션 파서블> 등의 한국영화가 2월 개봉할 수 있었다”고 했다.
코믹 액션 영화 <미션 파서블>이 30억 원(33만 명)의 매출로 2월 흥행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설 연휴 하루 전날 개봉한 코믹 멜로 영화 <새해전야>는 2월 16억 원(17만 명)의 매출로 4위에 자리했다. 액션 영화 <몬스터 헌터>는 10억 원(10만 명)의 매출로 전체 흥행 순위 5위였다.
3개월 연속 독립·예술영화 흥행 1위
지난해 11월부터 본격화된 코로나19 3차 유행으로 개봉작 연기 사태가 다시 발생한 탓에 개봉작 부족을 메우기 위한 재개봉작이 자리를 채웠다.
<세자매> <고백> 등 한국 독립·예술영화가 1월과 2월 개봉하면서 2월 예술영화 시장도 모처럼 활기를 띠었다. 독립·예술영화 흥행 순위에서는 여성 배우들이 주연을 맡은 <세자매>가 매출액 3억 원(4만 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세자매>는 2월까지 7억 원(8만 명)의 누적 매출액을 기록했다. 2위는 애니메이션 <드림빌더>로 2억 원(2만 명)의 매출을 올렸다. 아동학대 문제를 다룬 <고백>이 1억 원(2만 명)의 매출로 3위였다. 4위는 가족영화 <페이웰>로 1억 원(1만 명)의 매출을 기록했다. 코미디 영화 <워 위드 그랜파>가 8389만 원(1만 명)의 매출로 5위였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