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지난해 신규 등록 장애인은 8만3천명으로 이 중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 노년층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2020년 등록장애인의 장애유형, 장애정도, 연령 등 주요 지표별 ‘2020년도 등록장애인 현황’을 19일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263만3천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5.1%로 나타났다. 2019년 말 기준 261만8천명과 비교해 1만4천명이 증가한 것. 신규 등록된 장애인은 8만3천명으로 이 가운데 65세이 55.1%에 달하며 장애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유형별로는 지체(45.8%), 청각(15%), 시각(9.6%), 뇌병변(9.5%) 순으로 높았고 가장 낮은 유형은 안면(0.1%), 심장(0.2%), 뇌전증(0.3%) 장애 순이었다.
장애 정도별로는 심한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98만 5000명(37.4%), 심하지 않은 장애로 등록된 장애인은 164만 8천명(62.6%)이었다.
연령별로는 60대(60만 2000명, 22.9%), 70대(58만 5000명, 22.2%)에서 등록장애인 수가 가장 많다. 전체 인구대비 장애인 등록 비율도 60대 8.9%, 70대 15.8%, 80대 이상 22%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성 등록장애인은 152만 명(57.8%)으로 여성 111만 명( 42.2%)보다 높다.
지난 10년 간의 변화를 보면 인구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노년층 장애인 수가 지속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37.1%에서 지난해 49.9%로 올라섰다.
노년층 장애인 중 가장 많은 장애유형은 지체(47.9%), 청각(23.5%), 뇌병변(10.8%), 시각(10.1%), 신장(3.0%) 장애 순으로 나타났다.
지체장애는 2010년 53.1%에서 지난해 45.8%로 감소 추세지만 청각장애는 10.4%에서 15.0%, 발달장애는 7.0%에서 9.4%, 신장장애는 2.3%에서 3.7%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심한 장애인에 비해 심하지 않은 장애인 비율이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심한 장애인은 2010년 40.1%에서 지난해 37.4%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심하지 않은 장애인은 59.9%에서 62.6%로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복지부 이선영 장애인정책과장은 “매년 등록장애인의 추이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특성과 장애 유형 간의 형평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장애 인정기준 개선 등 장애인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