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보아오포럼은 지난 20년, 세계의 경제, 사회 문제의 해법을 모색해왔고, 아시아 나라들은 보아오포럼을 통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며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구동존이의 정신을 실천해왔다"고 의미를 부여한 뒤 "구동존이는 포용과 상생의 길이며, 인류 공동의 위기인 코로나를 극복하는 데에도 중요한 가치이자 원칙"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중국 하이난성 보아오에서 열린 보아오포럼에 영상 메시지를 통해 "그동안 세계는 어느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아시아의 포용 정신에 주목해왔다"며 "한국 또한 이웃을 먼저 생각하는 배려와 나눔의 정신을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세계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고‘포용적 회복’을 이루기 위한 한국의 책임을 되새기며, 아시아의 역할과 글로벌 거버넌스 강화 방안도 제안했다.
문 대통령은 "첫째, 포용성이 강화된 다자주의 협력"이라며 "코로나로 교역·투자 환경이 위축되고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고 있다"면서 "당장에는 자국 경제를 지키는 담이 될 수 있겠지만, 결국에는 세계 경제의 회복을 가로막는 장벽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공존과 새로운 번영을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힌 뒤 "큰 나라와 작은 나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 서로를 존중하며 동등하게 협력할 때 인류의 미래도 지속가능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공존과 새로운 번영을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는 포용성을 강화한 다자주의 협력을 새로운 시대로 가는 디딤돌로 삼아야 한다"고 거론한 뒤 "지난해 체결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을 통해 역내 경제 협력의 속도를 높이고, 다자주의에 대한 신뢰 회복과 자유무역 발전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시아에서부터 코로나에 공동대응해야 한다"며 "지난해 출범한 '동북아시아 방역·보건 협력체'를 통해 역내 협력을 내실화하고, 아시아가 코로나 극복의 모범을 만들어가길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녹색 회복’을 위한 공동행동은 매우 시급한 문제고 기후위기는 세계가 함께 대응해야 한다"며 정부가 추진중인 '2050 탄소중립', '그린뉴딜' 계획도 설명, "아시아 나라들과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해양오염 대응, 물관리 역량 강화를 비롯한 환경 분야 협력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는 5월 서울에서 열리는 '2021 P4G(녹색성장과 글로벌목표 2030을 위한 연대) 서울 정상회의'가 기후위기를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장이 될 수 잇도록 아시아 국가들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아울러 "신기술과 혁신 거버넌스 협력으로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 코로나로 인해 글로벌 가치사슬이 재편되고, 생산·공급 시스템의 디지털화가 더욱 빨라지면서 기술 발전과 혁신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기술 발전과 혁신의 대표적 지표는 특허다. 특허출원 5대국 중 한·중·일 3개국이 포함될 만큼 아시아는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다"면서 "아시아 국가 간 협력이 강화된다면 미래를 선도하고 위기에 대응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디지털 분야 ODA(공적개발 원조)를 비롯해 디지털 강국의 경험과 성취를 공유해나갈 것"이라면서 "각 나라가 필요한 전문의료 인력, 제조업·IT(정보통신) 기술인력 등 맞춤형 인재양성 지원에 더욱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끝으로 "인류는 결국 코로나를 이겨내고, 코로나 극복의 힘이 되었던 포용과 상생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가장 유용한 정신이 될 것"이라며 "한국은 보아오포럼 창립국이자 책임 있는 중견국으로서 아시아의 공동번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