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소방차나 구급차에 우선신호를 부여하는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 구축사업이 전국으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교차로 소통개선, 사고감소 효과가 큰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을 전국 주요 국도와 도시부에 확대하는 사업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3일 밝혔다.
스마트 신호운영은 실시간 교통량에 따라 신호를 제어해 차량 흐름을 원활하게 하거나 긴급차량에 우선신호를 부여하는 시스템이다. 감응신호, 긴급차량 우선신호, 스마트 교차로 세 종류로 운영된다.
‘감응신호 시스템’은 평소 주도로의 통행 신호를 우선 부여하고 부도로의 좌회전 차량을 감지한 경우에만 신호를 부여해 불필요한 신호 대기시간을 줄였다.
‘긴급차량 우선신호 시스템’은 긴급차량의 목적지를 사전에 공유하고 이동경로에 따라 교차로 신호를 일시적으로 제어해 우선 통행할 수 있도록 맞춤형 신호가 부여된다.
‘스마트 교차로’는 교차로의 방향별, 차종별 정보를 추출해 생성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시간대별 교통흐름을 분석해 신호체계를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국토부는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감응신호 시스템 509개소, 긴급차 우선신호시스템 44개소, 스마트 교차로 746개소를 운영했다. 이 결과 교차로 내 지제시간은 41% 감소, 신호위반은 36% 감소했고 긴급차 통행시간도 20∼60%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올해부터 전국 주요 교차로를 대상으로 신호운영체계 개선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에만 전국 국도와 지자체 403개소에 감응신호, 19개 지자체 372개소에 긴급차 우선신호, 31개 지자체 1,224개소에 스마트 교차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