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8월부터 스마트 서비스 기술이 지역 여건에 잘 적용되고 있는 지자체는 정부로부터 ‘스마트도시 인증’을 받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스마트 도시를 정부 차원에서 인증하기 위해 ‘2021년 스마트도시 인증 공모’에 착수한다고 6일 밝혔다.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스마트도시 성과 지표를 통해 국내 스마트도시들의 수준을 파악하고 도시 간 비교가 되도록 인증과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다. 스마트도시 성과 평가, 우수 도시 발굴, 대외 홍보 등에 적극 활용될 예정이다.
해외 주요국은 이미 스마트도시 진단 지표를 도입해 각 도시의 수준을 평가하고 결과를 정책 추진과 대외 홍보에 활용하고 있다.
국토부 측은 “국내에는 아직까지 스마트도시 현황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표준 평가 수단이 없어 국내 스마트도시들이 해외에서 저평가돼 왔다. 또한 일부 지자체가 개별적으로 국제평가에 도전해야 하는 상황으로 스마트도시의 체계적 발전과 자생적 도약에 한계가 있었다”고 했다.
국토부는 스마트도시 지표에 기반한 스마트도시 평가와 인증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2017년 스마트도시법에 인증제 도입 근거를 마련했다. 2019년 인구 30만 이상 지자체 37곳을 대상으로 시범인증 공모를 실시해 서울, 대전, 대구, 울산, 수원 등 10개 지자체가 시범인증을 획득했다.
스마트도시 인증 대상은 지자체 규모를 고려해 인구 50만 이상 규모의 대도시, 인구 50만 이하 중소도시로 유형을 구분해 평가하게 된다.
인증을 위한 평가는 국토연구원에서 전문가들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혁신성, 거버넌스 및 제도, 서비스 기술 및 인프라 3개 분야, 10개 평가항목, 63개 세부지표로 구성된 정량지표와 정성지표에 대해 서면평가, 현장실사를 실시한다.
6월 말 지자체 제안서를 접수받고 평가를 거쳐 8월 중 인증대상 도시를 선정할 예정이다. 지자체별로 5등급으로 평가해 1~3등급까지 인증을 부여한다. 인증을 받은 지자체 등급은 공개하고 국토부 장관 표창과 동판 수여를 통해 국내외에 우수한 스마트 도시로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국토부 최임락 도시정책관은 “국내에 처음으로 도입하는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우리나라 스마트도시 수준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