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광주 북구, 제주 서귀포시, 경기 의정부시, 경북 성주군, 경남 김해시에 지역주민을 위한 스마트타운이 조성된다.
행정안전부는 ‘2021년 스마트타운 조성사업’ 공모를 추진해 5개 지자체를 최종 선정했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타운 조성사업’은 도시 또는 농·어촌 지역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서비스를 구축해 노인돌봄, 청년 일자리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9년 청도·완도 2개, 지난해 인제·서천·하동·고흥 4개의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했다.
행안부는 선정된 지자체에 총 24억 원 규모의 국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지방비 24억 원을 포함해 총 48억 원 규모로 올해 하반기부터 사업을 착수할 예정이다.
광주광역시 북구는 ‘시티맵-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 복지행정 통합돌봄 특화마을’을 조성한다. 노인·중장년·청년 대상의 ‘응급안전 돌봄’, ‘가상현실 운동공간 우울증 케어’, ‘청년창업지원 공유오피스’ 등 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하고 서비스를 통합해 관리하는 디지털 복지행정 플랫폼을 구축해 데이터수집과 분석기반을 마련한다.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디지털노마드 스페이스’는 도시 청년들이 농촌지역에 정착하고 지역이 주체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추진하는 사업이다. 정보기술과 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디지털 라이브커머스 스튜디오, 디지털 도·농교류 플랫폼 등을 구현할 예정이다.
경기도 의정부시는 ‘스마트 베이스캠프 흥선’ 사업을 추진하고 지역 내 방치된 지하공간에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해 버섯 등 특화작물 원격재배 환경 조성, 실내공기질 데이터기반 무인 방역시스템 구축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경상북도는 성주군 ‘ICT 지능형 온(溫)택트 세대융합’ 사업을 통해 치매심리검사, 예방프로그램 등 노인심신 건강 모니터링 장비를 마을회관에 보급하고 청년 창업가-어르신 멘토링 연계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경상남도 김해시는 ‘스마트케어로 상생하는 스마트타운 대(박)동(네)’ 사업을 통해 생체정보 모니터링으로 어르신 건강관리, 생육환경 조기감지 스마트 재배환경 구축 등 주민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정선용 행안부 디지털정부국장은 “지역 여건과 수요를 반영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스마트서비스가 지역현안을 해결하는 솔루션이 되고 지역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