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오는 7월부터 사회서비스원이 전북, 울산, 제주에 단계적으로 문을 연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사회서비스원 사업대상지역 공모 결과 울산, 전북, 제주가 최종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사회서비스원은 긴급돌봄 제공, 민간 사회서비스 제공기관 지원, 국·공립 시설 위탁 운영 등을 통해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종사자를 직접 고용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하기 위해 추진하고 있다.
올해까지 서울,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세종 등 총 14개 시·도에 사회서비스원을 설립하고 내년까지 부산, 충북, 경북 3곳을 포함해 전국 17개 시·도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 1월부터 사회서비스원은 코로나19로 인한 돌봄 공백을 해소하고자 가정, 복지시설,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돌봄인력과 돌봄서비스를 지원하는 긴급돌봄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7월 문을 여는 전북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 수는 많으나 민간 서비스 제공기관이 부족한 지역 중심으로 종합재가센터를 설치해 지역 내 사회서비스 이용 격차를 해소한다. 사회서비스원 본부는 민간 서비스 제공기관 종사자 대상 인권 상담과 교육 등도 실시해 지역 내 서비스 종사자의 전반적인 처우 개선도 추진한다.
10월 개원하는 울산광역시는 고령화와 저출산 극복을 위해 노인 맞춤 돌봄, 가사간병, 방문요양 등 재가서비스와 돌봄 서비스에 특화해 여러 국·공립 시설을 운영할 계획이다.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등 총 9개소 및 종합재가센터 2개소를 운영한다.
11월 제주도에는 다수의 돌봄서비스 전달체계를 통합적으로 연결하고 대상자가 지역 내에서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제주형 통합복지하나로 시범사업’과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과 연계해 추진한다.
복지부 임호근 사회서비스정책관은 “사회서비스원 설치로 이용자들이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고 민간 서비스 제공기관의 품질향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많은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