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서남해안 연안과 제주해역에서 혼획 또는 좌초돼 폐사하는 상괭이의 사망원인을 밝히고 보호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상괭이 부검 시범연구를 추진한다.
‘웃는 돌고래’라 불리는 상괭이는 우리나라, 홍콩, 일본 등 아시아 동부 연안에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소형 돌고래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 생물목록에 취약종(VU)으로 분류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서해 연안에 서식하는 상괭이가 2004년 3만6,000여 마리에서 2016년 1만7,000여 마리로 개체수가 급감해 2017년부터 상괭이를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해 관리해 왔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리 바다에서 혼획, 좌초, 표류된 상괭이는 4천여 마리로 연 평균 800마리 이상의 상괭이가 폐사체로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그간 정부 차원의 지원이나 부검인력 등이 미흡해 폐사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부검 연구로는 극히 일부인 10여 마리 정도만 활용되고 대부분의 사체는 소각·매립 처리돼 왔다.
해수부는 올해 해양환경공단, 세계자연보전기금(WWF) 한국지부, 충북대학교, 제주대학교 등과 함께 서․남해안과 제주해안에서 혼획·좌초·표류된 상괭이 사체에 대한 부검을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올해 말까지 진행되는 시범연구에서는 총 16마리의 상괭이 사체에 대한 부검을 추가로 실시하고 연구 결과에 따라 내년부터는 정식으로 연구사업을 추진해 부검 대상 개체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부검을 통해 상괭이의 주요 먹이자원이나 연령에 따른 생리·생태학적 특성, 이동경로, 사망원인 등도 파악한다. 상괭이 보호를 위한 정책적 수단까지 함께 모색해 연구가 단순 폐사 원인 규명에서 끝나는 것이 아닌 상괭이를 보호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해수부 측은 “현재 국내에 고래를 전문적으로 부검할 수 있는 인력과 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만큼 이번 시범연구를 계기로 상괭이 생태에 대한 교육의 장을 마련해 미래의 상괭이를 비롯한 해양포유류 생태 전문가 양성에 기여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