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 6대 선도 연구개발(R&D) 사업에 본격 착수한다고 24일 밝혔다.
사업은 주력산업 및 신산업에 빅테이터와 AI(인공지능) 등 디지털기술을 접목해 밸류체인 내 공통문제를 해결하고 혁신성장을 지원한다.
이번 착수 사업은 조선, 미래차, 가전전자, 유통·물류, 철강, 헬스케어 6개 분야에 향후 3년간 국비 약 228억원, 민간 자체 투자 약 51억원 등 총 279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사업 당 4~12개의 업종기업, 디지털 기술 공급 기업, 전문 연구기관, 대학 등이 디지털 전환을 위한 협업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총 38개 기업·기관이 참여한다.
조선․해운 분야에서는 조선, 해운, 기자재 등 12개 기관·기업이 협업, 스마트 선박과 관제센터 등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표준화해 수집·공유·활용하는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선박 고도화, 엔진 등 주요 부품 예지보전, 탄소 배출 저감 및 연료절감을 위한 운항 지원 서비스 등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차 분야는 전기차 파워트레인 제조업체인 코렌스와 20여개 협력사가 입주하는 부산 미래차 부품 단지의 생산·품질·비용·배송(PQCD) 데이터 흐름을 담는 디지털 플랫폼을 개발해 구축할 예정이다.
가전전자 분야는 ㈜귀뚜라미와 부품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등 6개 기업·기관 간 협업으로 생활가전 제품 제조, 사용, AS 등 전주기 데이터를 수집․활용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한다.
유통물류 분야는 물류전문기업 ㈜로지션, 로봇제조 업체 ㈜클로봇, 부산대 등 5개 기업·기관이 협업해 해당 물류시스템 내 주문 수량, 상품 위치·입고·출고, 무인운반차(AGV) 동선·작업률 등 데이터 수집·분석이 가능한 디지털 플랫폼을 개발할 계획이다.
철강은 한국금속재료연구조합, 인하대학교 등 5개 기업·기관이 협업해 (주)세아창원특수강 등 2개사의 철강 소재물성 데이터와 세창스틸 등 3개사의 공정 데이터 등을 연계한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한다.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디맨드 등 6개 기업·기관 협업을 통해 스마트폰 카메라로 측정 가능한 광용적맥파(PPG) 측정 방법과 데이터 처리 등에 대해 표준 방법론을 개발해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활용한 정규화 데이터셋(set)을 구축한다. 데이터셋은 스트레스 측정, 완화, 관리 등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에 활용되도록 공개된다.
산업부 장영진 산업혁신성장실장은 “지난해 6대 분야로 시작한 디지털전환 연대를 올해 10대 분야로 확대하고 2024년까지 4천억원 규모로 조성될 디지털 산업혁신 펀드도 동 사업에 집중 투자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