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국민권익위원회는 주변 환경 변화로 도로 구조물과 맞닿은 토지가 더 이상 도로 유지관리에 필요하지 않게 됐다면 해당 토지를 원소유주에게 환매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정을 내렸다.
환매권은 토지의 협의취득일 또는 수용 개시일로부터 10년 이내에 해당 사업 폐지, 변경 또는 그 밖의 사유로 취득한 토지가 필요 없게 된 경우 1년 또는 그 취득일로부터 10년 안에 그 토지에 대해 받은 보상금에 상당하는 금액을 사업시행자에게 지급하고 토지를 돌려받을 수 있는 권리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민원인 ㄱ과 ㄴ은 2012년 완공된 신내-퇴계원 간 광역도로 공사의 보강토 옹벽이 더 이상 도로 유지·관리에 필요하지 않게 됐다며 지난해 4월 7일 남양주시장에게 토지를 환매해 달라는 민원을 제기했다.
그러나 남양주시장은 지난해 6월 8일 향후 옹벽 보수가 필요할 것에 대비해 옹벽에 접한 토지 폭 1m를 제외하고 환매하겠다고 통보했다.
이에 대해 민원인들은 남양주시장의 처분이 부당하다고 지난 1월 11일 권익위에 고충민원을 제기했다.
권익위는 협의취득 또는 수용된 토지가 공익사업에 필요 없게 됐는지는 사업시행자의 주관적 의사가 아닌 제반 사항에 비춰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봤다.
권익위 임진홍 고충민원심의관은 “공익사업으로 침해된 개인의 권익보호를 위해 행정기관은 국민의 입장에서 환매제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