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국민 10명 중 9명은 국산 코로나19 백신의 개발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으나 실제 임상시험 참여에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 국산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에 대한 18세 이상 1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 인식조사를 21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대다수의 국민들이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대해 '필요하다' 92.3%, '중요하다' 92.8%, '시급하다' 87.8%로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에 대해서는 74.3%가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긍정적 인식은 60대(85.3%), 50대(82.6%)가 높았다. 이유로는 국산 백신 개발로 코로나19 백신 자주권 확보가 50.7%로 가장 많았다.
부정적 인식은 20대가 10.2%로 50대(1.4%), 60대(1.7%)에 비해 6배 이상 높았다. 이유로는 아직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을 사용함에 따른 부작용 우려가 37.9%로 많았다.
국산 백신의 임상시험 안전성과 관련해 국민의 33.8%는 ‘안전하다’, 51.4%는 ‘보통’, 14.9%는 ‘안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국내기업의 전임상을 거친 의약품에 대한 신뢰(49.6%), 임상시험 의료진에 대한 신뢰(24.4%)로 응답했다.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임상시험 정보가 제한적(47.7%), 검증되지 않은 의약품 사용(44.0%)으로 나타났다.
국산 코로나19 백신 개발 임상시험 참여 의향과 관련해 국민의 78.6%는 ‘참여의향이 없다’, 21.4%는 ‘참여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6.5%로 임상시험 참여에 가장 부정적이었다. 이어 30대 17%, 40대 23.5%, 50대와 60대가 24% 순으로 높은 참여 의향을 보였다. 성별은 남성이 29.6%, 여성이 13%로 2.3배 높았다.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백신 자주권 확보 36.1%, 신약개발 기여 20.1%, 코로나 종식 기여 15.4% 순으로 많았다.
임상시험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국산 백신 부작용에 대한 우려 30.7%, 임상시험 정보가 제한적 22.7%, 국산 백신 효과에 대한 불신 14.5%, 보상체계 미흡 11.0% 순으로 나타났다.
백신 임상시험 참여를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는 이상반응 발생 시 충분한 보상(71.2%), 임상시험 결과 데이터의 투명한 공개(64.2%), 임상시험 참여시 유급휴가 및 출장인정(56.5%), 임상시험 참여 후 예방효과 부족시 백신우선접종권 부여(51.4%)가 제시됐다.
이강호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국내 백신 개발의 임상 3상 진행을 위해서는 대규모 임상시험 참여자 모집이 필요하나 백신 접종률이 증가하면서 참여자 모집에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정부는 임상 참여자 모집을 위해 대국민 홍보를 강화하고 임상참여자들이 안전하게 국산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