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앞으로 '김치'를 중국어로 번역할 때 파오차이가 아닌 '신기(辛奇, 중국어발음 '신치')'로 써야 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개정안을 22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최근 우리의 고유 음식인 ‘김치’가 중국의 절임 음식인 ‘포채(泡菜, 중국어 발음 '파오차이')’로 번역돼 논란이 된 바 있다.
개정 훈령에서는 기존 훈령에서 ‘김치’의 중국어 번역 및 표기 용례로 제시했던 ‘파오차이’를 삭제하고 ‘신기'로 명시했다.
한국어와 달리 중국어에는 ‘기’, ‘김’ 소리를 내는 글자가 없어 김치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지 못한다. 이에 지난 2013년 농식품부는 중국어 발음 분석, 중국 8대 방언 검토, 주중 대사관과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김치’의 중국어 표기로 ‘신치’를 선정한 바 있다.
문체부 측은 “중국어 번역 후보 용어 16개를 추가 검토할 때에도 '신치'는 김치와 발음이 유사하며 맵고 신기하다는 의미를 나타내므로 김치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용어로 선정됐다”고 했다.
개정된 훈령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하는 누리집, 홍보 자료 등에 적용된다. 관계 기관은 김치 관련 중국어 홍보 콘텐츠 등을 제작할 때 김치를 ‘신치’로 표기하게 된다. 민간 부문에서는 해당 훈령 적용을 강제하지 않기 때문에 김치업계 및 관련 외식업계 등에서는 사업 환경에 따라 훈령을 참고해 번역 표기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순대’나 ‘선지’의 영어 표기도 소리 나는 대로 쓰도록 변경된다. 뜻을 살려 순대나 선지를 ‘blood sausage’, ‘blood cake’라고 번역하면 외국인에게 혐오감이나 거부감을 준다는 우려를 반영해 소리 나는 대로 번역하는 방식인 ‘sundae’, ‘seonji’로 표기한다.
문체부 박태영 문화예술정책실장은 “우리의 김치와 중국의 파오차이를 구분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훈령에 '신치'라는 표기를 명시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