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지난해 상반기 코로나19 여파로 주춤했던 항공 교통량이 하반기부터 국내선을 중심으로 회복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상반기 항공 교통량은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했으나 지난해 하반기 보다 12% 증가한 21만7천 대였다고 23일 밝혔다. 하루 평균 1,197대가 하늘길을 날은 셈이다.
월간 최대 교통량은 4월 4만2천 대를 기록했고 하루 최대 교통량은 23일 1,559대로 조사됐다.
국제선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28.5% 감소한 9만3천 대로 하루 평균 511대가 운항했다. 국내선은 전년 동기 대비 25.8% 대폭 증가한 12만4천 대로 하루 평균 685대로 집계됐다.
국제선 가운데 우리나라 공역을 통과해 다른 나라로 비행한 영공통과 교통량은 전년 동기 대비 76.3%나 증가한 2만 대로 하루 평균 111대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 3월 일본으로부터 제주 남단 항공회랑의 관제권을 인수한 영향으로 보인다.
국제선 월간 교통량은 코로나19로 인해 줄어든 교통량이 3월 이후 소폭 상승 중이다. 국내선 월간 교통량의 경우 2월부터 대폭 상승해 코로나 이전 교통량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국토부 관할 8개 공항 관제탑에서 처리한 교통량은 제주 7만8천 대, 인천 7만3천 대, 김포 7만2천 대 순으로 집계됐다. 국내선 교통량 회복에 따라 제주공항과 김포공항 관제탑의 하루 평균 교통량은 각각 429대, 398대로 전년 동기 대비 18.6%, 24% 증가했다.
국토부 항공교통과 이랑 과장은 “상반기 항공교통량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한 수준이나 국내선 위주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특히 국내선 교통량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상회하며 교통량이 급증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