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정부가 그동안 국제사회의 우려와 우리나라의 지속적인 해양방류 철회 요구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가 오염수 해양방류를 추진하는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정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9개 부처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대응 관계차관회의’를 서울과 세종을 연결해 긴급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지난 4월 13일 일본 정부의 오염수 해양방출 결정에 대해 우리 정부의 일관된 반대에도 불구하고 도쿄전력이 일방적으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출 실시계획안을 발표함에 따라 마련됐다.
그간 우리 정부는 일본의 해양방출 결정에 대해 우려를 전달하고 오염수 처리 과정 전반에 대한 투명한 정보공개와 국제적 검증을 요청해 왔다. 이에 지난 7월 한국원자력기구(IAEA)는 국제검증단 전문가팀을 구성하고 우리나라 전문가를 포함해 검증에 착수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는 일본정부가 방류 강행 시 직간접적 검증에 직접 참여해 우리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일본 정부의 일방적 해양방류 추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국무조정실 주관 관계부처 테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해양방사능과 수산물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해양 방사능 조사영역을 연안, 항만과 원근해까지 확대해 방사능 감시망을 더욱 촘촘히 실시하고 있다. 조사정점별 조사 횟수도 기존보다 최대 4배까지 늘렸다.
현재 일본 14개현 27개 농산물과 후쿠시마 등 8개현의 모든 수산물은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모든 일본산 식품은 매 수입시마다 ‘방사능 검사’를 실시해 안전성이 확인된 식품만 수입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는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 시간을 종전 1,800초에서 1만초로 대폭 높였다.
국내 수산물에 대해서는 방사능 검사 물량을 지난해 2천여 건에서 올해 3천여 건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앞으로 수입수산물에 대해서는 유통이력 관리 확대와 음식점 원산지 표시대상 품목 확대 등의 방안도 추가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이날 회의에서 “우리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앞으로도 필요한 모든 조치를 국제사회와 함께 추진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