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임신 중 고농도 초미세먼지(PM2.5)에 노출됐던 아이는 출생 체중과 키 외에도 성장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임신 중기(14~26주) 고농도 초미세먼지에 노출됐던 임산부가 출산한 아이의 경우 성장저하 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PM2.5 위험도 분석 결과 임신 중기의 고농도 PM2.5 노출은 출생체중 저하의 위험도를 1.28배 높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출생 후 5년까지의 성장 궤도가 지속적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서의 임신 중 PM2.5 노출 농도를 비교한 결과 임신 중기 PM2.5 노출 농도가 높을수록 체중과 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아에서 출생 후 5년까지의 성장 궤도가 저하된 것으로 확인됐다.
제대혈을 이용한 메틸화 분석 결과 PM2.5 노출 농도가 높고 출생체중이 적은 여아 신생아군에서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ARRDC3의 메틸화가 증가했다. 특히 체중이 적은 5세 여아에서도 ARRDC3의 메틸화가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질병관리청 측은 “상기 연구결과는 적절한 관리를 통해 임신 중기 PM2.5 노출을 줄여 ARRDC3의 후성유전적 변화를 예방할 수 있다면 출생이후 자녀의 성장 저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했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임신 중기에는 PM2.5 고농도 시 외부활동을 자제해 주기를 바란다”며 “외출 시에는 보건용 마스크 착용, 실내에서는 주기적으로 환기하고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는 등 PM2.5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