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태국 상무부가 공동으로 주최하고 한국저작권위원회가 주관하는 ‘2021 한국-태국 저작권포럼’이 14일 오후 3시 30분 코로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온라인으로 열린다.
한국콘텐츠진흥원 ‘2020 해외 콘텐츠시장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 한류의 분야별 소비 비중은 드라마(29.7%), 미용(뷰티, 27.5%), 예능(26.9%) 순으로 높았다. 최근 5년간 한류를 접하는 경로로는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 방송시장은 2019년 텔레비전 수신료, 광고,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비디오 등의 분야에서 소폭 성장을 기록했다. 특히 모바일 인터넷 환경 개선과 주요 영상 플랫폼 간 경쟁으로 인해 OTT 비디오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에도 넷플릭스 등 세계적 플랫폼을 통해 <사이코지만 괜찮아>, <더 킹: 영원의 군주>와 같은 한국 드라마들이 소개되면서 태국 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올해로 12회를 맞이한 이번 토론회에서는 ‘영상 플랫폼에서의 한국과 태국 드라마의 성공 이해하기’라는 주제로 양국 전문가들이 각 국가의 드라마 산업과 문화 영향력 등에 대해 발표한다.
우리나라는 한국콘텐츠진흥원 해외사업부 태국 비즈니스센터 박웅진 센터장이 ‘케이(K)-드라마의 문화 영향력’을 주제로, 태국은 시왓 사왓마니꾼 스튜디오 와비 사비 대표가 ‘왜 와이(Y)-드라마인가?’를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태국 상무부 지식재산국 이사리야 상아룬 선임 통상담당관의 진행으로 정성훈 시제이 이엔앰(CJ ENM) 태국법인 최고운영책임자, 차난야 판나락사 주한태국대사관 상무공사관, 찰름차뜨리 유콘 태국 뷰(VIU) 프로그램 감독(디렉터) 등이 양국 드라마의 영상 플랫폼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해 토론한다.
사전 등록은 한국저작권위원회 누리집(www.kcc.or.kr)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최근 영상 플랫폼을 통해 한국과 태국 드라마 모두 인기를 얻고 있는 상황에서 각 나라에서의 방송 산업 관련 경험과 비법 등을 얘기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돼 매우 뜻깊다”며 “이번 토론회가 양국 드라마 산업에 대한 이해와 저작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한층 더 깊어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