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지난 5년간 간편송금으로 발생한 착오송금의 74% 이상이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5년간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간편송금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한 착오송금 129억4,174만원(5만5,506건) 가운데 95억3,319만원(4만2,316건)이 미반환된 것으로 조사됐다.
간편송금을 이용한 착오송금은 2017년 2억6,379만원, 2,197건에서 지난해 53억2334만원, 2만1,595건으로 금액 기준 19.2배, 건수 기준 8.8배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착오송금은 개인이 실수로 수취금융회사, 수취인 계좌번호 등을 잘못 입력해 이체된 거래다. 간편송금은 모바일을 통해 보안카드나 OTP 없이 비밀번호 등 간편 인증수단을 이용해 송금하는 서비스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간편송금 하루 평균 이용실적은 4,819억원, 407만건으로 2017년 상반기 대비 각각 21배, 7배 증가했다.
2015년 간편송금 시장에 처음 들어온 토스의 경우 5년간 85억3,786만원, 3만6,450건의 착오송금이 발생했는데 이중 63억7,422만원 2만9,368건이 미반환됐다. 착오송금은 2017년 2억6,379만원, 2,197건에서 지난해 34억7,911만원, 1만3,670건으로 각각 12.2배, 5.2배 증가했다.
카카오페이의 경우 4년간 43억701만원, 1만8,799건의 착오송금이 발생해 31억1,382만원, 1만2,811건이 미반환됐다. 2018년 3억6,504만원, 1,980건이던 착오송금은 지난해 11억5,541만원, 4,375건으로 각각 3.9배, 2.9배 증가했다.
네이버페이는 2년간 9,686만원, 257건의 착오송금이 발생해 이중 4,514만원(47%), 136건(53%)이 미반환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관석 의원은 “디지털금융이 발달하고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금융거래가 증가하면서 덩달아 착오송금 규모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며 “간편송금 업체는 금융소비자가 간편송금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착오송금과 같은 실수를 줄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시스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