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청년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인 ‘청년희망ON(溫, On-Going)’에 KT와 삼성에 이어 세 번째로 LG까지 참여한다.
정부와 LG그룹이 21일 LG사이언스파크에서 국무총리실과 LG그룹이 간담회를 개최하고 청년 일자리 창출 계획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LG그룹은 3년간 3만명의 직접채용을 포함해 3만9천개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이는 LG그룹이 올해 LG전자의 휴대전화 단말기 사업 중단, LX그룹 분리에도 불구하고 매년 1만 명대의 고용을 발표했다.
LG그룹은 향후 3년간 직접채용으로 연간 1만명씩 총 3만명 외에도 산업 생태계 지원과 육성을 통해 9천개의 일자리 창출을 발표했다. 일자리는 스타트업 분야 1,500억 원 투자, 채용계약학과 등 산학연계 프로그램 확대, ESG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질 예정이다.
직접 채용 외에도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업 생태계 육성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LG커넥트‘, ’오픈랩‘ 등 스타트업 분야에 1,500억 원을 투자해 3년간 약 2천 개, 대학들과 산학연계로 맞춤형 교육과 현장 실무를 강화하는 ’채용계약학과‘를 기존 소프트웨어(SW)·광학·스마트융합 분야에서 배터리와 인공지능 전공까지 확대해 5,800개, 사회적 기업을 지원하는 ESG 프로그램인 ’LG 소셜캠퍼스‘와 지역 청년 혁신가를 키우는 ’로컬밸류업프로그램‘ 등을 강화해 1,200개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LG 측은 “이렇게 되면 기존 프로그램에서 약 6천 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던 것에서 3천개의 추가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간담회에서 “기업들의 ‘청년희망ON’ 프로젝트에 더해서 일자리와 창업에서의 미스매치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맞춤형 인재 양성’과 ‘청년 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해서 조만간 발표할 것이다”고 했다.
이날 LG가 동참하면서 ‘청년희망ON’을 통해 향후 3년간 기업들이 약속한 일자리 창출 개수는 총 8만1천 개에 이른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