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경남, 경북, 광주, 대전, 인천 등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지원하기 위한 특화상담소가 생긴다.
여성가족부는 지역 사회의 디지털 성범죄 대응과 피해자 지원 강화를 위해 2022년 ‘디지털 성범죄 지역 특화상담소’를 10개소로 확대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 특화상담소를 시범 운영한 7개 시도 중 경남, 경북, 대구, 부산, 전북, 제주 6개를 재선정했다. 광주, 대전, 인천, 충북 4개 지역은 새로 추가됐다.
특화상담소에서는 디지털 환경에 전문성을 갖춘 상담사를 개소당 2명씩 두고 피해자에게 심층 상담, 삭제 지원, 수사‧법률‧의료 연계 등 맞춤형 서비스와 치유회복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또한 디지털 성범죄 특성상 유포불안을 호소하는 피해자가 많아 전문상담을 진행함과 동시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에 즉시 삭제지원을 요청하고 피해자 맞춤 수사·법률·의료를 연계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주로 10~20대인 저연령층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피해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도 치유회복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달 19일 기준 상담, 삭제지원, 연계 등 피해지원 건수는 총 6,703건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으로 어려움이 있었지만 치유회복 프로그램도 218건 지원했다.
황윤정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앞으로 특화상담소를 통해 지역에 거주하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들이 보다 신속한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