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국민 86%에 해당하는 4,302만6천명이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행정안전부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신청과 이의신청 처리를 마감한 결과 3일 기준 4,302만6천명에게 10조7,565억원이 지급됐다고 8일 밝혔다.
4,302만6천명은 전체 2,320만 가구 중 1,994만3천 가구에 해당하는 수치다.
당초 지급대상자 이외에도 이의신청 인용 등을 통해 30만8천명에게 769억원이 추가로 지급됐다. 접수된 이의신청 건수는 46만1천건이다. 사유별로는 건보료 조정 19만건(41.2%), 가구구성 변경 16만7천건(36.3%), 해외체류자 귀국 2만8천건(6.0%) 등으로 나타났다.
지급수단별로는 국민 72.1%가 ‘신용·체크카드’로 지원금을 받았고 ‘지역사랑상품권’ 17.5%, ‘선불카드’ 10.4% 순으로 많았다.
지난 9월 6일 국민지원금 지급 개시 후 두달 간 총 지급액은 10조6,795억원이었다. 이 중 신용·체크카드와 카드형·모바일형 지역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한 9조 2,197억원 중 90.7%인 8조3,656억원이 사용됐다.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과 무기명 선불카드는 정확한 사용실적 분석이 어려워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
같은 기간 국민지원금 총 지급액 10조6,795억원 중 지류형 지역사랑상품권과 무기명 선불카드도 동일하게 사용됐다고 가정한다면 총 9조 6,906억원이 지역경제에서 사용된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마트·식료품점 28.6%(2조3,897억원), 음식점 22.4%(1조8,776억원), 병원·약국 9.0%(7,560억원), 편의점 8.6%(7,198억원)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됐다.
아울러 매출규모가 30억 이하인 영세·중소 가맹점에서 사용 비중이 크게 높아져 지역 영세 소상공인들의 피해 회복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신용·체크카드로 지급된 국민지원금 사용액 6조8,761억원을 가맹점 매출규모 구간별로 분석한 결과 연 매출액이 30억 이하인 영세·중소 가맹점에서 80.5%(5조5,364억원)가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신용카드 사용액인 155조7,482억원 중 영세·중소 가맹점 소비 비율인 55.8%(86조 9,158억원) 보다 24.7%p 높았다. 지난해 1차 긴급재난지원금이 매출액 30억 이하 영세·중소 가맹점에서 63.5%(6조 725억원)가 사용된 것과 비교할 때도 17.0%p 높다.
국민지원금 사용 마감일은 12월 31일까지로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국가와 자치단체로 환수될 예정이니 모두 사용해야 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