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신안산선 영등포역, GTX-C 창동역 등 8곳 철도역에 청년을 위한 공공임대주택 1천가구가 공급된다.
국토교통부, 서울시, 경기도는 신안산선‧GTX-C 등 신규 철도역사를 활용해 공공주택을 복합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철도역사 공공주택 복합개발은 철도사업자가 철도역을 건물형으로 건설하면서 하부층은 철도출입구, 상부층은 주택으로 복합 개발하는 사업이다. 서울주택공사(SH)‧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공공이 주택을 매입해 청년을 위한 매입임대, 장기전세 주택 등으로 공급한다.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공공주택 입주민은 시세의 50% 이하의 임대료만 부담하면서 건물 내 엘리베이터를 통해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
시범사업은 2025년 개통을 앞두고 현재 공사 중인 신안산선과 2027년 개통을 목표로 설계 이전 단계인 GTX-C 노선을 활용해 총 8개 역사에 최대 1천호를 공급한다. 철도노선‧역사 등의 공사기간을 고려해 2025~2026년경 입주자를 모집할 예정이다.
신안산선은 영등포, 대림삼거리, 시흥사거리, 한양대역 등에 약 500호를 공급 예정이다. 1호선, KTX 등 우수한 교통망을 통한 출퇴근 편의를 고려해 사회초년생을 중심으로 공급한다.
한양대(에리카캠퍼스) 역사는 캠퍼스 혁신파크 지정 예정부지에 추가 출입구 설치를 협의 중으로 240명 수용이 가능한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GTX-C는 창동, 청량리, 양재, 덕정역 등에 약 500호를 공급할 예정다. 해당 지자치체가 추진하는 사업을 고려해 공공주택의 공급 규모와 컨셉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예로 GTX-C 창동역은 복합환승센터 개발사업을 통해 창동역과 연결된 건물 상부에 창동 아레나 등 인근 문화‧예술 시설과 연계한 지역전략산업(문화창업) 주택을 조성해 청년 문화창업인과 업계관계자에게 공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도심 내 새로운 주거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철도-주택 복합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다. GTX-B, 대장홍대선 등 사업계획이 확정된 노선부터 공공주택을 더 많이 공급 할 수 있도록 철도역사 부지를 기존 보다 넓게 확보하는 방안을 제3자 제안 공고문, 민자사업 기본계획 고시문 등에 포함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