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현재 서울시청, 강남역, 부산시청, 울산시청, 대구시청, 광주시청, 대전시청 권역별로 규정된 광역철도 기준에 서울역, 삼성역, 청량리역, 인천시청, 세종시청 5개 지점이 추가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대도시권 위주의 일률적인 광역철도 지정기준을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전국 16개 시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15일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개선방안에 따르면 광역철도를 이용해 권역별 중심지 인접역까지 6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
이를 위해 광역철도 권역별 지점 기준이 현재 서울시청, 강남역, 부산시청 등 7개에서 서울역, 삼성역, 청량리역, 인천시청, 세종시청 5개 지점으로 늘어난다.
국토부 측은 “서울시청, 강남역을 중심지점으로 정하고 있는 광역철도 권역별 기준이 수도권의 경우 GTX 환승역사인 서울역, 삼성역, 청량리역와 인천시청 4곳으로 확대된다. 대전권의 경우 세종시청을 중심 지점에 추가한다”고 했다.
권역별 중심지를 기준으로 반경 40km 이내로 한정된 거리기준도 50km 이내로 확대한다.
아울러 기존의 광역철도 개념을 확장해 대도시권과 외부지역 간 연계 교통문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대도시권 연계형 광역철도’를 지정할 수 있는 규정을 신설할 계획이다. 대도시권 연계형 광역철도는 광역교통 낙후도, 지역 균형발전 효과 등 정성적 요소에 대한 외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지정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이번 지정기준 개선방안 설명회를 통해 관계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검토한 후 내년 초 개선방안을 확정하고 관련 법령 개정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