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23일 오후 한국과 중국 간 화상 방식의 외교차관 전략대화가 열린다. 2017년 6월 개최된 이후 약 4년 6개월 만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4시 최종건 외교부 1차관과 러위청(樂玉成) 중국 외교부 부부장은 9차 한중 외교차관 전략대화를 진행한다. 전략대화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화상 방식으로 진행된다.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 대변인도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전략대화 개최 사실을 확인했다.
전략대화에서 양측은 ▲내년 수교 30주년을 맞는 한중 양국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방안 ▲한반도 정세 ▲기타 지역 및 국제 정세를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폭넓은 의견 교환이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 2월 개막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정부 사절단 파견 문제가 논의될지 관심이 쏠린다.
중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외교적 보이콧(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음) 행렬에 동참하는 국가가 늘어날지 주시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외교적 보이콧에 관해 검토하고 있지 않으며, 정부 대표 참석에 관해 아직 결정된 바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전략대화에서 중국은 성공적인 베이징올림픽을 위한 한국측 협조를 당부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양국은 양국 간 고위인사 교류가 양국 관계 발전에 중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달 초 서훈 청와대 안보실장의 방중 당시 한중 간 공감대를 형성한 화상 정상회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첨예한 미중 갈등 속 화두로 부상한 글로벌 공급망 문제도 논의될 수 있다.
이번 전략대화는 지난 9월15일 한국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 때 가급적 연내에 전략대화를 성사시키자는 합의가 이뤄진 데 따른 것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