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탄소배출 없는 수소화물차 5대가 도로 위를 달린다.
국토교통부는 23일 일산 킨텍스에서 현대자동차와 함께 대형 수소화물차(11톤급) 시범운영 기념행사를 진행했다.
본 행사에는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관련부처와 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 쿠팡 등 물류기업이 참석했다.
시범사업을 통해 운영되는 수소화물차는 총 5대로다. CJ대한통운 2대(인천-인천공항, 인천-경기광주), 현대글로비스 2대(울산-경주, 울산-양산), 쿠팡 1대(인천서구-영종도)가 투입되다. 1년간 국제특송화물, 강판 등을 회사당 1,000~1,500회 운송할 계획이다.
화물운송 차량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2800만톤으로 수송분야 전체 탄소배출량의 약 30%를 차지한다. 정부가 지난 10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상향 조정함에 따라 수송분야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9810만톤에서 2030년 6100톤으로 약 37.8% 감축이 필요해 수소차 전환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2023년까지 탄소감축 효과가 큰 사업용 차량의 무공해차 50만대 전환계획에 맞춰 수소화물차 1만대를 보급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2028년까지 수소차 전차종에 대한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2030년까지 88만대의 수소차 보급을 목표로 기술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주요 물류거점에 화물차용 대용량 충전소를 매년 2곳씩 구축할 계획이다. 모든 수소차가 전국 어디서나 20분 내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도록 2030년까지 총 660기의 충전소도 설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수소화물차 구매 부담 완화를 위해 지자체와 함께 1대당 최대 4억5천만원의 구매 보조금도 지급한다.
이외에도 냉동·냉장·탱크로리, 수소청소차 등 다양한 수소화물차가 시장에 보급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수소화물차 구매 시 취득세와 고속도로 통행료를 감면하는 등 각종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환경부 홍정기 차관은 “이번 수소화물차 시범운영을 수소화물차 보급 활성화 계기로 삼아 수소충전소 확대와 함께 수소 승용차뿐만 아니라 수소 상용차 전환에도 속도를 높이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