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정부가 100만명분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구매를 추진한다.
정부는 경구용 치료제 100만4천 명분에 대한 선구매 계약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27일 현재 총 60만4천 명분의 경구용 치료제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선구매 계약을 마친 물량은 머크(MSD)사의 라게브리오 24만2천 명분과 화이자사의 팍스로비드 36만2천 명분이다.
이르면 내년 1월 중순에 화이자사의 경구용 치료제가 국내에 도입되며 초도물량 확대와 도입일정 단축을 위해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
정부는 오미크론 확산, 단계적 일상회복에 대비하기 위해 기존 계약 물량과 별도로 추가구매 계약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내년 1월 초 계약을 체결하고 공개할 예정이다.
국내 도입되는 경구용 치료제는 식약처 승인사항, 의사 처방에 따른 투여가 원칙이다. 입원이나 사망을 포함한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중등도 성인과 12세 이상, 40kg 이상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된다. 세부적인 투약지침은 의료계와 협의해 조속히 마련할 예정이다.
아울러 내년 1월 3일부터는 접종증명 유효기간이 적용된다. 이에 방역패스가 적용되는 다중이용시설에서는 3일부터 2차 접종 후 180일이 지난 접종증명서를 사용할 수 없다.
시설관리자가 접종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QR코드 인식 시 접종상태를 소리로 안내한다. 유효한 증명서는 '접종완료자입니다'라고 음성으로 안내되며 유효하지 않은 경우 딩동 소리가 나온다.
정부 측은 "시설관리자는 딩동소리가 나오는 경우 PCR 음성확인, 코로나19 완치자, 18세 이하 등 미접종자 예외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 방역패스 미소지자에게 시설 이용 불가를 안내해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