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정부가 중견기업의 디지털전환과 탄소중림 대응역량 강화를 위해 내년에 1천억원의 지원예산을 편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내년 중견기업 전용 지원예산이 1,096억원 규모로 국회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이는 올해 975억 보다 121억원(12.4%) 증액된 것.
중견기업 지원예산은 2018년부터 최근 4년간 지속해 증가했다. 예산규모는 2018년 대비 2배가량 확대돼 올해 최초로 1,000억원을 돌파하게 된다.
우선 디지털전환 추진 의지가 있는 중견기업을 기술개발, 기반구축 등 다방면으로 지원하기 위한 사업들을 본격 추진한다.
중견기업이 SW(소프트웨어)‧AI(인공지능) 대학과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분야 혁신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산학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15억원을 신규 편성해 지원한다. 또한 중견기업이 필요로 하는 디지털 전환 솔루션을 발굴해 중견기업 현장에서 실제 활용할 수 있도록 20억원을도 새로 편성했다.
아울러 탄소중립 대응을 위해 중견기업 수요에 맞춘 석·박사 인력양성을 위해 11억원을 지원한다.
중견기업별 특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역량 확보를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연구개발사업도 확충한다. 중견기업이 미래 신산업‧신시장 창출을 견인할 혁신적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 예산을 올해 124억원에서 내년 240억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또한 지역경제를 선도할 유망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맞춤형 연구개발, 중견-중소기업 협력형 기술개발 등 중견기업 주도의 상생 협력모델에 대한 지원도 각각 81억원, 99억원으로 올해 보다 31억원 증액됐다.
코로나19로 인해 기업활동이 장기간 위축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으로 회귀하거나 성장이 정체된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재도약을 지원하기 위해 10억원도 신규 편성했다.
산업부 안세진 중견기업정책관은 “우리 경제의 허리인 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예산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중견기업이 디지털전환·탄소중립 등 대전환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