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선아 기자] 21일부터 어린이집과 유치원, 요양병원에 신속항원검사 키트가 우선 지급된다. 13일부터는 신속항원검사 키트 온라인 판매가 금지된다.
정부는 1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 수급 대응 테스크포스(TF)’ 회의를 개최했다.
정부는 21일부터 감염에 취약한 어린이집(원생·종사자), 노인복지시설 등 약 216만명에게 주당 1~2회분의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무상 배포하기로 결정했다. 유치원·초등학교는 시·도 교육감과의 협의를 거쳐 추후 결정할 계획이다.
공급량이 늘어나는 3월부터는 임신부, 기타 방역 취약계층 등에 대해서도 신속항원검사 키트 무상 배포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현재 온라인상 신속항원검사 키트 가격교란행위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민간의 유통과정 전반에 대한 공적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에 13일부터는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온라인에서 판매할 수 없고 오프라인의 경우 약국과 편의점 등으로 판매처를 한정했다. 매점매석 행위 차단을 위해 판매가격 제한, 1회 구입수량 제한 등 유통개선 조치도 추진된다.
구체적인 판매처, 유통경로, 최고 판매가격 수준, 구입방식 등은 현재 관련 업계와 최종 협의 중으로 확정되는 즉시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유통물량 증대를 위해 5개 생산업체의 수출물량은 사전에 승인을 받도록 하고 필요시 긴급 생산명령을 내리는 등 다각적인 수단을 강구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러한 조치를 통해 10일 기준 남은 2월동안 7,080만개, 3월에는 총 1억9천만개의 신속항원검사 키트가 국내 공급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