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인구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상북도 청도군보건소와 경상남도의 폐교 대학교 건물이 지역 주민들의 소통과 협력을 상징하는 거점공간으로 태어난다.
행정안전부는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으로 경북 청도군, 경남 밀양시가 최종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은 유휴공간을 탈바꿈해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거점공간이다. 2018년도부터 추진되고 있다.
앞으로는 경북 청도군, 경남 밀양시를 추가해 강원 춘천, 전북 전주, 대전, 제주, 충남, 울산을 포함한 전국 8개 지자체에서 지역거점별 소통협력공간을 운영하게 된다.
경북 청도군과 경남 밀양시 소통협력공간은 광역·기초 지방비를 포함해 3년간 총 180억 원을 투입해 조성될 예정이다. 행안부 국비 예산은 주민참여 지역문제해결 확산 사업에, 지자체 자체 예산은 공간 조성에 사용된다.
행안부는 해당 지자체와 함께 향후 조례 제정, 공간 조성, 운영자 공모 등을 거쳐 상반기부터 사전운영 방식으로 주민참여 사업을 먼저 추진하고 2024년 상반기 중 정식 개소할 계획이다.
경북 청도군은 코로나 동일집단(코호트) 격리 1호 건물로 감염병 위기 극복의 상징장소이자 오랫동안 지역보건의 중추기능을 수행해온 청도군보건소를, 경남 밀양시는 지난 2005년 폐교해 원도심 내 16년째 방치돼있는 옛 밀양대학교 일부를 새단장한다.
최훈 행안부 지방자치분권실장은 “이번 인구감소지역 최초 선정을 계기로 도시 근교 농촌형, 유휴 대학건물형 등 새로운 유형의 지역사회혁신 소통협력공간 등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