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교육부가 3월 새 학기 학교 방역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유·초·중·고 학생과 교직원 약 692만 명에게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를 무료로 제공한다.
교육부는 학교 방역의 안착과 업무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학교 방역 추가 지원 방안’을 16일 발표했다.
우선 전국 유·초·중·고 학생과 교직원 약 692만 명을 대상으로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를 무료로 제공한다. 2월 4주부터 3월 5주까지 총 6,050만 개의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를 지원한다. 이를 위해 전체 1,464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는 2월 4주 유·초등학교 등교 학생을 대상으로 1인당 2개씩 제공한다. 3월에는 학생 1인당 1주에는 1개, 2주에서 5주에는 주당 2개씩 9개가 배포될 예정이고 교직원 1인은 2주부터 주당 1개씩 4개가 지급돼 총 6,050만 개를 지원할 계획이다.
학교 현장에 보급되는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는 정부 합동 대책반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학생과 교직원이 자택에서 등교 하루 전부터 선제적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되 자율방역 취지에 맞게 운영할 계획이다.
선제 검사는 3월 2주차부터 일요일과 수요일 저녁 2회에 걸쳐 진행되도록 했다. 구체적인 검사일정 계획은 지역과 학교 여건을 고려해 조정이 가능하다. 검사 결과는 자가진단 앱을 통해 학교와 정보를 공유하며 검사 결과 ‘양성’인 경우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도록 안내한다.
교육부 측은 “주 2회 선제검사가 안착되면 학교의 접촉자 자체조사 부담이 현저히 줄어들 것이라 기대된다. 특히 접촉자 중 무증상인 학생·교직원 대상의 7일간 3회 신속항원검사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교육부는 학교 자체조사에 대한 방역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시도교육청별로 긴급대응팀을 운영한다. 학교에 배치되는 방역 전담인력 7만 명과 보건교사의 업무 지원을 위한 지원 인력 1681명도 배치할 예정이다.
또한 학교 내 확진자 발생으로 감염이 우려될 경우에 대비해 현장 이동형 PCR 검사소도 시도교육청별로 운영한다.
현장 이동형 PCR 검사소는 진단검사 전문의료기관 위탁을 통해 시도별로 해당 거점 지역에 설치해 학생과 교직원 전용으로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동검체팀이 확진자 발생 학교에 찾아가 검체를 채취한 후 결과를 통보하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3월부터 전국 시도교육청별로 1곳 이상씩 총 18개소를 운영할 예정으로 확산 상황에 따라 검사소 추가 설치도 검토할 예정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이번 오미크론에 대응하는 학교방역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리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의 도움과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교육부와 교육청은 학교현장을 총력 지원할 것이다. 비상대응체계로 전환해 부족한 부분을 신속하게 해결하며 대응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