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교통사고 잦은 곳에 신호·과속단속장비, 교통안전표지 등을 설치한 지역에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72.1%,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31.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2019년 지자체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을 완료한 전국 216개소를 대상으로 개선 전 3년 평균과 개선 후 1년간의 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이 결과 사업 시행 전 3년간 연평균 사망자 수는 32.3명이었으나 개선사업 시행 후인 2020년 9명으로 72.1% 감소했다.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사업 시행 전 연평균 2,262건에서 1,549건으로 31.5% 감소했다.
행안부 측은 “신호·과속단속장비 설치, 교통안전표지·노면표시 등 간단한 교통안전시설 개선만으로도 사업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주요 개선사례를 살펴보면, 서울 용산구 한강1가 14 삼각지교차로의 경우 진행 방향 혼선으로 인한 차로변경사고와 보행자 무단횡단 다발 지역으로 개선 전에는 연평균 16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진행 방향 혼선방지용 노면색깔유도선, 보행자 무단횡단방지 시설 등을 설치한 결과 사업 시행 전과 비교해 교통사고는 8건으로 50% 감소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신촌리 신촌교차로는 비교적 한산한 도로로 잦은 과속, 신호위반, 급격한 우회전 합류로 개선 전 연평균 6.3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고정식 신호·과속단속장비, 이격식 미끄럼방지포장 설치, 진로변경제한선 등을 설치한 결과 교통사고는 1건으로 사업 시행 전보다 84.1% 감소했다.
한편, 행안부는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1988년부터 교통사고 잦은 곳을 대상으로 개선사업을 추진해 지난해까지 전국 1만1803개소를 개선한 바 있다. 올해는 전국 297개소를 대상으로 개선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