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내년까지 철도역사 빈 공간에 국공립 어린이집 10개소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와 보건복지부는 철도역사 유휴공간을 활용한 철도어린이집 조성 확대 추진 업무협약(MOU)을 21일 체결했다.
철도어린이집 사업은 철도를 이용해 출·퇴근하는 직장인 부모의 보육부담 완화를 위해 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을 활용해 어린이집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국토부 노형욱 장관, 보건복지부 권덕철 장관이 참석해 조성 확대 추진을 위한 기관별 역할을 협의하고 공동 서명했다.
협약을 통해 국토부는 철도역사 내 유휴공간을 무상으로 제공하고 복지부와 지자체는 철도어린이집 조성에 필요한 시설비를 분담한다. 그 외 일부 시설비는 국가철도공단에서 분담한다.
철도어린이집은 국공립어린이집으로 지자체가 운영하며 운영비도 복지부 예산으로 일부 지원 받을 수 있다.
보육정원은 4세 이하를 대상으로 30명, 시설면적 300㎡ 내외로 조성될 계획이다. 시간 연장형(오전 7시 30분~오후 9시 30분) 프로그램과 장애아와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맞춤형 보육서비스도 실시한다.
국토부와 철도공단은 오는 3월 오송역, 월곶역, 거제역, 정읍역, 이천역, 재송역, 거제해맞이역 전국 7개역을 대상으로 지자체 제안 공모사업을 추진한다.
한편, 철도어린이집은 2019년 3월 시범사업으로 경춘선 평내호평역에 개원해 정원 30명 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행신역, 탄현역, 여주역 3개소에 철도어린이집이 새로 개원한다.
국토부 노형욱 장관은 “이번 업무협약과 사업추진을 통해 직장인 부모의 보육부담을 완화해주는 디딤돌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