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수소버스 충전소 표준 모델을 구축하고 충전소 설비 국산화율을 높이기 위해 버스노선과 연계한 수소충전소가 경남 창원에 들어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창원시와 버스연계형 가포수소충전소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준공식은 2020년부터 총 사업비 194억원을 들여 추진한 ‘수소버스용 충전소 실증사업’ 결과물이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창원산업진흥원, 한국천연가스수소충전협회, 경남테크노파크 등이 참여해 추진해 왔다.
산업부는 버스 노선과 연계한 운영계획을 수립해 수소버스의 1회 충전량, 1일 충전횟수, 1일 충전량 등 충전패턴을 분석할 계획이다. 또한 충전설비 고장 시 저압충전 실증도 함께 추진해 버스 수소충전소의 안정적 운영방법도 제시한다.
수소충전소 핵심부품 국산화 기술개발은 대부분 완료됐으나 국산 부품에 대한 신뢰성 부족 등으로 실제 상용화되는 비율은 낮은 현실이다. 충전소 설비의 국산화 비율을 80% 이상 되도록 구축해 국산 부품에 대한 작동특성, 성능분석, 내구성, 신뢰성도 검증한다.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창원시는 130개가 넘는 수소 부품기업들과 수소생산기지, 액화수소플랜트, 대규모 연료전지 발전사업 등 수소경제 생태계가 빠르게 조성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수소충전소 국산화율 제고와 함께 청정수소 기반 충전소, 수소-전기 융복합 충전소 등 신사업 모델 발굴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