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2035년 개항할 국내 최초 해상공항인 ‘가덕도 신공항’의 밑그림이 나왔다.
국토교통부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 추진계획’이 2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이번 추진계획은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하 특별법) 제정에 따라 지난해 5월 착수한 ‘가덕도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마련됐다.
국무회의 의결로 ‘가덕도 신공항 건설사업’의 국가 정책적 추진이 확정됨에 따라 기획재정부의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거쳐 예비타당성조사 면제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가덕도 신공항 건설 추진계획에 따르면 초기 개항 시에는 현재 김해공항의 국제선만 이전하는 것을 전제로 검토됐다. 예비타당성조사 지침에 따라 수요를 분석한 결과 잠정 목표연도 2065년 국제선 기준 여객은 2,336만명, 화물은 28만천톤으로 분석됐다.
활주로 길이는 국적사 화물기(B747-400F)의 최대 이륙중량 기준으로 이륙 필요거리 3,480m를 고려해 3,500m로 검토했다.
공항의 24시간 운영과 인접지역에 미치는 소음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활주로 방향별, 지형별 특성 등의 특성을 대표하는 총 5개 배치대안 후보를 선정했다. 남북배치는 A안(육상), B안(육해상), C안(육해상) 3개로, 동서배치는 D안(육해상), E안(해상) 2개다.
이 중 활주로 남북배치 방식인 A, B, C는 인근 인구밀집지역에 소음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24시간 운영이 곤란하고 김해공항과 진해비행장의 관제권 침범, 군 비행절차 간섭 등 인근 공항과의 상호 운영·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돼 대안에서 제외됐다.
활주로 동서배치인 D, E는 가덕도의 동측과 서측에 위치한 가덕수도와 정박지의 상호영향성을 고려해 전문가 평가를 거친 결과 순수 해상배치 대안인 E안이 육상-해상 걸치는 대안 D안 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돼 E안이 최종 선정됐다.
국토부 측은 “E안의 사업비 규모는 13조7천억원으로 D안 13조3천억원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으면서 부등침하 우려가 적고 장래 확장성이 용이했다. 또한 D안과 달리 절취된 산지를 배후부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됐다”고 했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은 후속 절차인 기본계획, 설계 등을 거치는 과정에서 보다 상세한 지반조사, 최신 공법 적용, 최적 입찰방식 검토·도입 등을 통해 사업비, 사업기간 등이 구체화 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