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폐기물 처리 시 발생하는 오염 원인을 도출하는 기법 마련을 위해 11일 성남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하루 최대 폐기물 처리용량이 600톤인 성남소각장 운영자료를 활용해 오염물질 배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또한 AI 기반의 오염 원인 인자 도출 방법을 알아내는 공동연구 시범사업도 수행한다.
공동연구 분야는 △시설별 운영인자와 오염물질의 상관성 조사,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주요 오염물질 배출 원인 인자 도출, △사업장 환경관리 및 운영 효율화를 위한 정보 공유, △통합환경관리제도 개선 및 적용방안 등이다.
아울러 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인자를 도출하고 성남시와 유사한 시설을 갖춘 사업장에도 적용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공동연구 결과는 첨단 유망기술과 최적가용기법의 발굴, 폐기물처리업 최적가용기법 기준서 개정, 통합환경관리제도 개선 등 폐기물 처리 분야의 환경관리에 활용될 예정이다.
성남시는 시범사업 상호 협력을 통해 사업장 운영 효율화, 에너지 절감, 사업장 운영자료 분석기법 도출, 오염 원인 인자 진단기법 등을 마련하여 폐기물처리시설을 환경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전태완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자원연구부장은 “이번 업무협약 체결은 친환경 폐기물처리시설 운영을 통해 주민들의 건강권 보전과 보다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