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1년 사이 23%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산림청은 지난해 5월부터 매개충의 우화시기 이전인 올해 4월 말까지 전국 135개 시군구에서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 38만본을 전량 제거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4월 기준 소나무재선충병 발생 시군구는 131개에서 135곳으로 늘었다. 완주, 함평, 화순, 나주, 충주, 부산 연제구, 동해에서 신규 또는 재발생했다. 청정지역으로 환원된 곳은 해남, 옥천, 인제 3곳이다. 피해목 수는 전년 31만 본에서 올해 38만본으로 늘었다.
산림청은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2014년 최정점인 218만 본을 기록한 이후 매년 감소해 왔으나 올해는 증가했다. 피해가 증가한 원인은 병징 발현 지연과 인력 접근 곤란 등으로 제때 정밀한 예찰이 어려웠고 이로 인해 방제 대상목이 방치돼 주변으로 피해가 확산됐기 때문이다"고 했다.
울산 북구, 경기 양평군, 경북 고령군과 경남 밀양시 4곳의 피해등급이 ‘경(1천본~1만본)’에서 각각 ‘중(1천본~3만본)’과 ‘심(3만본~5만본)’으로 악화됐다.
산림청은 피해 감소를 위해 합동점검단을 구성해 피해고사목 100% 이상 증가지역과 피해등급 상향지역을 전수조사하고 결과에 따라 후속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100% 이상 증가한 시·군·구는 대구 달성·북구, 경기 포천, 경남 밀양·의령·함안 6곳이다.
또한 방제사업 설계용역 준공 전 관련 전문가가 사전 컨설팅을 실시해 방제품질을 제고할 계획이다. 방제사업장에 대한 부실 설계·시공·감리 등도 적발해 지자체에 영업정지, 벌금 등 단호한 행정조치도 요구할 계획이다.
예찰 사각지역에는 드론과 전자 예찰함 확대, 피해지역의 재선충병 발생위험 예측 알고리즘 구축, 확산 방지를 위한 방제결정지원, QR 코드를 통한 고사목 이력 관리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피해목을 철저히 찾아내 전량 방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