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선화 기자] 면역결핍증, 장기이식 환자 등에 투약할 수 있는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치료제인 ‘이부실드’ 2만 회분이 국내에 들어온다.
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이부실드 도입 관련 2차 추경예산396억 원이 확정됨에 따라 국내 공급 및 투약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이부실드는 면역억제 치료 또는 중증 면역결핍 증상으로 코로나19 예방 접종으로는 면역 형성이 어려운 경우 항체를 직접 투여해 예방 효과를 발생시키는 ‘예방용 항체치료제’다.
미국 FDA의 연구 결과 이부실드 투약 시 감염은 93%, 중증 및 사망은 50%가 감소하는 등 예방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지난 해 12월 긴급사용을 승인했고 유럽은 올해 3월 시판 승인을 권고함에 따라 현재 미국, 프랑스, 싱가포르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부실드 접종 대상은 면역억제치료로 인해 백신접종 후 항체형성이 어려운 혈액암 환자, 장기이식 환자, 선천성 면역결핍증 환자로 코로나19에 감염 이력이 없어야 한다.
공급물량은 투약 필요 환자 규모 추계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7월 중 약 5천 회분, 10월 중 약 1만5천 회분 총 2만 회분이 도입될 계획이다.
정부는 “확정된 2만 회분에 대한 구매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이부실드 제조사인 아스트라제네카사와 협의 중에 있다”며 “계약 체결 후 식품의약품안전처 긴급사용승인을 거쳐 신속하게 국내 도입과 투약을 실시할 예정이다”고 했다.
이부실드도 다른 코로나19 치료제와 동일하게 전액 무상으로 공급된다.
투약의료기관은 중증면역저하자를 진료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신청을 받아 운영된다. 의료진은 환자가 이부실드 투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코로나19예방접종관리시스템을 통해 대상자를 예약하고 신청할 수 있다.
의료기관의 신청이 접수되면 관할 보건소가 대상자의 확진 여부를 확인 후 이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질병관리청으로 약품 배정을 신청하고 질병관리청이 해당 의료기관에 약품을 배정받고 배송이 진행된다.
이부실드 투약 이후 투약자의 건강 상태 확인을 위한 모니터링도 의료진을 통해 실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