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정부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지역사랑상품권 부정유통 단속에 나선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조폐공사는 4천만 건의 지역사랑상품권 거래정보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심거래 탐지모델’을 개발해 4개 지자체에 시범 적용한다고 9일 밝혔다.
행안부와 조폐공사는 시흥, 성남, 서산, 군산 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가맹점·이용자 정보, 구매·선물·환전·결제 내역, 계좌변경 이력, 부정거례 적발사례 등 총 20여 종 4천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부정유통 의심거래 16개 시나리오를 정립해 정상거래와 이상거래를 자동 분류 할 수 있는 ‘의심거래 탐지모델’을 개발했다.
의심거래 탐지모델은 ‘모바일형’과 ‘지류형’으로 나눠 구분된다. ‘모바일형’은 짧은 시간 내 수차례 결제되거나 동일업종 평균 객단가를 크게 초과해 비정상 거래금액이 결제된 경우 등이다. '지류형'은 환전 시 상품권 구매 일련번호가 수 십매 이상 연속된 경우, 이용자의 상품권 구매 후 가맹점주가 이른 시간 내 환전한 경우 등이 의심거래로 분류된다.
행안부와 조폐공사는 이번 분석 결과를 4개 지자체에 시범 적용한 후 전국 72개 지자체로 확산시킬 계획이다.
행안부 측은 "현재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사랑상품권의 부정유통 의심사례에 대해서만 조폐공사에 데이터 추출을 요청해 점검을 진행하고 있으나 의심거래 탐지모델 개발로 실시간 다양한 유형의 이상거래 점검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한편 지역사랑상품권은 지난해말 기준 광역 10곳과 기초자치단체 222곳에서 23조6천억원이 발행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